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발급 방법
아파트 분양을 받고 디딤돌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대출 신청서류로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과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 두 서류는 각각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는지, 인터넷으로도 발급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1.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은 해당 건물의 소유권, 지상권, 저당권 등 권리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발급은 전국의 등기소에서 가능합니다.
발급 방법
- 등기소에 방문하여 발급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신분증을 제시합니다.
- 수수료를 납부합니다.
수수료
- 1통당 1,000원
발급 기간
- 즉시 발급
인터넷 발급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은 인터넷에서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발급 방법
-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접속합니다.
- "등기부등본 열람·등본 발급"을 클릭합니다.
- "건물등기부등본"을 선택합니다.
- "발급신청"을 클릭합니다.
- 신청정보를 입력합니다.
- 수수료를 납부합니다.
발급 기간
- 5일 이내
2.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는 해당 건물에 부과된 지방세의 납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발급은 해당 주택 소재지의 구청, 시청, 군청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가능합니다.
발급 방법
- 지방자치단체에 방문하여 발급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신분증을 제시합니다.
- 수수료를 납부합니다.
수수료
- 1통당 200원
발급 기간
- 즉시 발급
인터넷 발급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도 인터넷에서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발급 방법
-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발급"을 클릭합니다.
- 신청정보를 입력합니다.
- 수수료를 납부합니다.
발급 기간
- 5일 이내
사진
[사진 1]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화면
[사진 2]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화면
위와 같이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의 건물 등기부등본과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는 각각 등기소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도 발급이 가능하지만, 수수료가 조금 더 비싼 경우가 많습니다.
아.. 맞다 근데 혹시 이거 아시나요? 같은 문제를 고민하시는 분이 또 계셔요. 여기를 누르시면 다른분이 해결한 더 자세한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